태그 보관물: CBD

자폐증 아이 부모에게 대마초 성분은 기적이었다

대마초 성분으로 자폐증에 시달리는 어린 아이를 치료한 사례가 논문으로 정리되어 국제 저널 Cureus Journal of Medical Science 에 발표되었다.

출처: Cannabidiol in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 Case Study

자폐증

자폐증은 두뇌 신경 발달 장애로 인해 정신적 및 신체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자폐증으로 진단 받는 아이들이 세계적으로 100명 중 한 명 꼴이라고 한다.

자폐증 아이들은 남들과 의사소통을 하지 못한다. 또한 감정을 주체할 수 없어 돌발적으로 스스로 상처를 입히거나 남을 해치려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폐증 아이들은 쉽게 잠에 들지 못하고 대변이나 소변을 가릴 수 없어 정상적인 수면이 불가능하다.

이렇듯 자폐증 아이들은 정상인처럼 사람 구실을 하지 못하고 동물 같은 행동을 하기 때문에 부모들은 너무나 힘든 상황이다.

그런데 대마초가 전면적으로 합법화된 캐나다에서 이를 사용하여 자폐증 아이에게 큰 효과를 보았다는 사례가 국제 학계에 보고되어 주목된다.

대마초를 코코넛 기름에 달여낸 것을 자폐증 아이에게 먹였더니 2주일 만에 사람 구실을 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사례

캐나다의 경우에는 자폐증 어린아이들이 50명 중 한 명 꼴로 상당히 많다고 한다. 보통 자폐증으로 진단 받으면 인간 구실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나 타인을 해치는 것을 막기 위해 폭력성을 거세하는 향 정신 약물을 처방 받는다. 하지만 이런 향 정신 약물은 독성 때문에 신장, 간, 소화 기관 등에 영향을 미쳐 또 다른 부작용을 일으켜 문제를 심화시킨다.

국제 저널 Cureus Journal of Medical Science 은 3살에 자폐증으로 진단 받았던 아이가 7살부터 대마초 성분을 포함한 코코넛 기름을 먹기 시작한 9살 남자 아이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Ma L, Platnick S, Platnick H. Cannabidiol in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 Case Study. Cureus. 2022 Aug 26;14(8):e28442. doi: 10.7759/cureus.28442. PMID: 36176817; PMCID: PMC9509693.

CBD 요법을 시작한 후 아이가 달라졌어요. 아이가 30분 이상 앉아 있을 수 있었어요. 펜을 잡기 시작했어요. 글이나 숫자를 집중해서 읽을 수 있게 되었어요. 이런 변화를 목격하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었어요.

자폐증 아이에게 CBD 요법을 시작한 어머니의 증언

대마초 성분 투여는 식사와 함께 매 1ml 당 20mg의 CBD와 1mg 이하의 THC가 포함된 코코넛 오일을 제공하여 이루어졌다고 한다. 첫 투여는 하루 2차례 0.1ml씩으로 시작했으나 효과는 0.5ml씩 투여하였을 때 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고 아이에게 대마초 성분을 제공한지 2년이 지난 지금은 아이가 체중도 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증상이 놀라울 정도로 개선되었다고 전했다.

칸나비디올(CBD)이 SARS-CoV-2 바이러스와 변이종을 무력화한다

저자정보: (미국 시카고 대학교 연구팀) Long Chi Nguyen, Dongbo Yang, Vlad Nicolaescu, Thomas J. Best, Takashi Ohtsuki, Shao-Nong Chen, J. Brent Friesen, Nir Drayman, Adil Mohamed, Christopher Dann, Diane Silva, Haley Gula, Krysten A. Jones, J. Michael Millis, Bryan C. Dickinson, Savaş Tay, Scott A. Oakes, Guido F. Pauli, David O. Meltzer, Glenn Randall, Marsha Rich Rosner

논문개요: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이 SARS-CoV-2 복제를 억제하고 선천 면역 기능을 강화한다

연구후원: 시카고 대학교 BIG Vision 펀드, 미국 정부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미국 시카고 대학교

Cannabidiol Inhibits SARS-CoV-2 Replication and Promotes the Host Innate Immune Response. Long Chi Nguyen, Dongbo Yang, Vlad Nicolaescu, Thomas J. Best, Takashi Ohtsuki, Shao-Nong Chen, J. Brent Friesen, Nir Drayman, Adil Mohamed, Christopher Dann, Diane Silva, Haley Gula, Krysten A. Jones, J. Michael Millis, Bryan C. Dickinson, Savaş Tay, Scott A. Oakes, Guido F. Pauli, David O. Meltzer, Glenn Randall, Marsha Rich Rosner bioRxiv 2021.03.10.432967; doi: https://doi.org/10.1101/2021.03.10.432967

대마초의 카나비노이드 성분 중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성분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SARS-CoV-2 바이러스가 복제되는 것을 막고 바이러스의 칩입 과정에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을 조절하기 때문에 변이 유사 바이러스 까지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SARS-CoV-2 바이러스 무력화

미국 시카고 대학교 연구진은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을 SARS-CoV-2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배양 세포주(A549-ACE2)에 투여하여 항바이러스 능력을 검증하였다.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을 투여한 결과 SARS-CoV-2 바이러스가 증식하며 발현되는 스파이크 단백질 세포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CBD 투여 후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발현 세포 수치 감소

마리화나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뱃속으로 들어가 소화된 상태(대사 산물)인 7-OH-CBD 성분 역시 SARS-CoV-2 바이러스 증식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OH-CBD 성분 투여 후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발현 세포 수치 감소

다만, 시카고 대학 연구진은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SARS-CoV-2 바이러스가 배양 세포주의 ACE2 수용체에 달라붙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대마초 카나비노이드 성분을 SARS-CoV-2 바이러스 분자 모델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한 대한민국 연구팀의 실험과는 다르게 A549-ACE2 배양 세포주를 대상으로 실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ACE2 수용체를 방해하지 못하는 칸나비디올(CBD)

SARS-CoV-2 바이러스 변이종까지 무력화

마리화나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을 SARS-CoV-2 바이러스에 감염된 A549-ACE2 배양 세포주에 투여하자 SARS-CoV-2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외피 단백질 등을 만드는 RNA 코드 모두가 파괴되었다.

연구진은 이 실험을 바탕으로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SARS-CoV-2 바이러스 변이종에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칸나비디올(CBD) 성분 투여 후 파괴되는 SARS-CoV-2 바이러스의 RNA 코드

사이토카인 폭풍 예방

SARS-CoV-2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의 DNA에 감염되어 콧물 같은 염증 반응물이 체내에서 폭발적으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 스톰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진은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A549-ACE2 배양 세포주의 인터페론 반응을 촉진하고 사이토카인 발생을 억제하여 SARS-CoV-2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사이토카인 스톰 현상을 예방한다는 것을 밝혔다.

A. 인터페론 반응 촉진 B. 사이토카인 발생 억제

CBD 섭취로 SARS-CoV-2 예방

연구진은 대마초의 CBD가 SARS-CoV-2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다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시카고 대학 부설 병원의 입원 환자 93,565 명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 결과와 대마초 사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칸나비디올(CBD)을 섭취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SARS-CoV-2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10배 이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칸나비노이드 및 칸나비디올(CBD) 성분 사용과 COVID19 양성 음성 판정 상관 관계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이 SARS-CoV-2 바이러스와 변이종을 무력화한다

이미 2020년 12월 영남대학교 등 대한민국의 연구진은 분자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대마초의 카나비노이드 성분 중 Δ9-THCA, Δ9-THC, CBN, CBD, CBDA가 SARS-CoV-2 바이러스를 무력화한다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대한민국 연구진은 대마초 카나비노이드 성분이 SARS-CoV-2 바이러스 ​복제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Mpro (Main protease:필수 프로테아제)와 안정적으로 작용하여 SARS-CoV-2 바이러스의 복제 능력을 무력화 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Photo by Brett Sayles on Pexels.com

대마초 칸나비디올 (CBD), UVA/UVB 방사선 피부 손상 막는다

자외선 및 방사선에 오래동안 피부를 노출시키면 산화 스트레스가 발생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이는 자외선 및 방사선이 표피 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각질형성세포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지방질 조합을 변화시켜 신진대사 활동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이에 많은 이들이 산화 스트레스를 막기 위하여 썬크림 등 자외선(UVA) 및 방사선(UVB)을 막는 다양한 약물을 피부에 바르곤 한다.

하지만 자외선과 방사선을 막는 것만이 해결책일까? 인체의 생장에 양날의 검인 햇빛,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칸나비디올 (CBD) 성분의 피부 보호 효과

폴란드 비알리스토크 의학 대학교 연구진은 대마초(마리화나)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선케어, 선크림 제품처럼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는 국제 논문을 발표하였다.

Łuczaj W, Domingues MDR, Domingues P, Skrzydlewska E. Changes in Lipid Profile of Keratinocytes from Rat Skin Exposed to Chronic UVA or UVB Radiation and Topical Application of Cannabidiol. Antioxidants (Basel). 2020 Nov 25;9(12):1178. doi: 10.3390/antiox9121178. PMID: 33255796; PMCID: PMC7761402.

연구진은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잘 알려진 항염증 및 항산화제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알아보는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생쥐에게 자외선을 조사한 다음 칸나비디올(CBD) 성분을 바른 후 피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UVA 또는 UVB 방사선에 노출 된 쥐 피부에 칸나비디올(CBD)을 바른 후 케라티노사이트 지질 프로필 변화 관찰

칸나비디올(CBD) 성분의 피부 보호 기전

연구진은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인지질의 산화 적 변형 방지, 포스파티딜 에탄올 아민의 수준을 나타내는 포스파티딜 세린 수치가 증가, 자가 포식이 증가 등의 효과로 산화 스트레스의 영향을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칸나비디올(CBD) 성분을 바른 후 세포막 지질의 한 종류인 스핑고미엘린의 대사가 상향 조절되었으며 세라마이드 생성 증가로 경표피 장벽을 개선하여 과도한 수분 손실이 방지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과학은 대마초의 칸나비디올(CBD) 성분이 자외선, 방사선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